본문 바로가기
창업정보

🧾 사업자 등록부터 통신판매업 신고까지

by 보부상PD 2025. 5. 9.
반응형

– 2025년 창업 전 꼭 해야 할 필수 절차 가이드

“온라인 판매 시작해도 사업자 꼭 내야 하나요?”
“스마트스토어는 사업자만 가능한가요?”
“통신판매업 신고는 어디서 하나요?”

💡 제품을 팔거나 블로그, 인스타, 스마트스토어, 쿠팡파트너스를 통해 수익을 낸다면
반드시 필요한 창업 준비 절차 2가지가 있습니다:

  1. 사업자 등록 (국세청)
  2. 통신판매업 신고 (관할 구청)


✅ STEP 1. 개인사업자 등록하기 (국세청 홈택스)

항목 내용
신청처 홈택스 또는 세무서 방문
준비물 공동인증서(구 공인인증서), 신분증, 사업장 주소
업종 선택 도·소매업, 정보통신업, 서비스업 등 선택 가능
사업장 주소 자택도 가능 (임대차계약서 불필요)

📌 간이과세자 또는 일반과세자 선택 가능 (연 매출 8,000만 원 기준)

💡 스마트스토어, 쿠팡파트너스, 인스타 판매 등 모두 도소매 업종 선택 가능


✅ STEP 2. 통신판매업 신고하기 (관할 구청)

항목 내용
신청처 정부24 또는 거주지 관할 구청
준비물 사업자등록증, 신분증, 공인인증서, 사업장 주소 증빙
수수료 약 1만 5천 원 내외 (지자체별 상이)
처리기간 보통 2~5일 이내 처리 (전자증명서 발급됨)

📌 스마트스토어·블로그·SNS를 통한 상품 판매 시 필수 신고

💡 쿠팡파트너스·티스토리 애드센스 등 광고형 수익만 있는 경우엔 불필요
👉 직접 상품을 판매할 경우에만 통신판매업 신고 대상


🧠 필수 Q&A

Q1. 블로그에서 물건 팔면 사업자 꼭 내야 하나요?
, 정기적인 판매·수익 발생 시 사업자 등록 필수입니다.

Q2. 통신판매 신고 없이 스마트스토어 열 수 있나요?
→ 아니요. 입점은 가능하지만 판매 시작 전까지 신고 완료 필수입니다.

Q3. 자택 주소로 사업자 등록해도 문제 없나요?
→ 네, 자가 주거지 또는 임대 주거지 모두 가능 (단, 공동주택은 일부 예외 지역 있음)

Q4. 둘 다 완료하면 바로 판매 가능한가요?
→ 네! 판매 채널 연동 → 상품 등록 → 수익 창출 가능


✅ 요약 정리

단계 해야 할 일 어디서
1단계 사업자 등록 국세청 홈택스 (또는 세무서)
2단계 통신판매업 신고 정부24 또는 관할 구청
완료 후 스마트스토어/블로그마켓 운영 자유롭게 판매 가능

📚 참고 링크

반응형